시험보기 전날 밤을 효율적으로 사용한다.
- 시험 전날 밤에 공부할 때 주요한 요점, 개념, 관계에 대한 요약을 마지막으로 본다.
- 잠을 푹 자라. 시험 전날 밤 잘 못 자는 사람이면 여러 날 전부터 잠을 더 자두도록 노력한다.
시험에 집중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든다.
-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밥을 먹은 후 시험 볼 장소로 간다.
- 가능하다면 친구 가까이 앉지 않는다. 친구 옆에 앉으면 집중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. 만약 친구가 일찍 나가면 여러분도 따라서 나가고 싶은 생각이 들 것 이다.
시험에서 묻는 것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확인한다.
- 지시사항을 주의 깊게 읽는다. 잘 모르겠으면 선생님이나 시험 감독관에게 무슨 뜻인지 물어보라.
- 각 문제를 주의 깊게 읽고 ‘아닌’, ‘제외한’, ‘잘못된’과 같은 속기 쉬운 단어를 찾는다.
- 논술시험에서는 모든 문제를 먼저 읽는다. 그래서 자신이 해야 할 일의 규모를 짐작하고 각 문제마다 얼마의 시간을 배분할 지 결정한다.
- 선택형 검사에서 앞의 선택지가 맞는 듯해 보여도 나머지 선택지를 모두 읽는다.
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한다.
- 즉시 문제를 풀기 시작한다. 에너지가 넘칠 때 가능하면 빠르게 움직인다.
- 쉬운 문제들을 먼저 푼다.
- 한 문제에 너무 매달리지 않는다. 어려운 문제는 표시했다가 나중에 다시 보도록 한다. 그리고 대답할 수 있는 문제로 빠르게 이동한다.
- 질문에 대해 확실하지 않으면 일단 답을 표시한 후 나중에 시간이 나면 돌아간다.
- 선택형 검사에서 모든 문제를 풀 시간이 부족할 때, 만약 오답에 감점을 하지 않는다면 풀지 못한 문제는 같은 선택지를 골라서 답한다.
- 논술검사에서 시간이 부족하여도 백지로 남기는 문제는 없어야 한다. 선생님에게 답은 알지만 답을 적기에는 시간이 필요했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도록 주요요점을 간단히 기술한다.
선택형 혹은 진위형 검사에서 언제 추측할지 알아야 한다.
- 오답에 감점 없이 정답만이 채점되면 나머지는 추측한다.
- 선택지 일부가 확실히 틀린 것을 알 경우 추측한다.
- 추측에 대한 벌점이 있는 경우, 최소한 한 개의 선택지라도 확실하지 않으면 추측하지 않는다.
- 정답은 항상 긴가? 짧은가? 중간인가? 대체로 한 가지 번호인가? 오답보다 정답이 많은가?
- 문법이 정답을 암시하거나 어떤 선택지를 배제시켜 주는가?
여러분의 문제풀이 과정을 체크한다.
- 시험지를 다시 쳐다보고 싶지 않아도 각 질문을 다시 읽어 여러분이 의도한 대로 대답했는지 확인한다.
- 컴퓨터로 채점하는 답안지를 사용한다면 선택한 번호와 답지에 표시한 번호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.
논술검사에서는 가능한 한 직접적으로 답한다.
- 첫 문장에서 질문에 답하고 점차 정교화해 간다.
- 답지의 마지막에 좋은 아이디어를 쓰기 보다는 앞부분에 이를 제시한다.
- 선생님이 완전한 문장들을 요구하지 않는 한, 답안지에 주요 요점, 논쟁 등을 번호로 매겨 제시하는 방법을 생각해 본다. 이 방법은 답을 쓰기 위해 여러분의 사고를 조직할 때 중요한 측면에 집중하도록 도움이 될 것이다.
시험 경험으로부터 배운다.
- 시험 후 선생님이 답을 설명해 줄 때 주의 집중하여 설명을 들어라. 이때 실수로부터 배울 수 있으며 종종 다음 시험에 같은 질문들이 다시 나올 수도 있다.
- 특별한 유형의 문항에 어려움을 겪는다면 이를 잘 기억해 둔다. 다음에 이런 형태의 문항을 보다 잘 풀 수 있도록 자신의 공부 방법을 조정한다.
시험 치기 전략을 위한 추가정보는 아래의 웹사이트를 참조하라.
http://www.testtakingtips.com/
'아빠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현서는 왜 칭찬만 받기를 원하는가? (0) | 2014.04.10 |
---|---|
학습 피라미드! 정말 믿어도 되나? (1) | 2014.02.05 |
[아이와의 대화] 그게 무슨 말인가요? (0) | 2011.04.06 |
[아이와의 대화] 아이에게 하는 금지의 말 (0) | 2011.04.06 |
[아이와의 대화] 아이가 나쁜 성적표를 가지고 왔다. (0) | 2011.04.03 |